정품프로코밀 퀵배송 정품수입산독일프로코밀 해외직구ㅾ 29.cia565.net ㅾ드래곤비용 씨알리스사용법 ㅾ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빈** 작성일25-11-27 13:32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23.cia756.net
0회 연결
-
http://40.cia312.com
0회 연결
본문
조루방지제 구매방법 여성비아그라 판매처ㅾ 89.cia952.com ㅾ여성 최음제구입 온라인 물뽕판매처 ㅾ
정품 씨알리스구매처사이트 정품 씨알리스 구입사이트ㅾ 84.cia367.net ㅾ스패니쉬플라이당일배송 물뽕 구입 사이트 ㅾ
비닉스복용법 물뽕 판매ㅾ 31.cia948.net ㅾ정품 조루방지제가격 물뽕 성분 ㅾ
인터넷 여성최음제 구매방법 비아그라 온라인 판매ㅾ 13.cia948.com ㅾ정품 조루방지제부작용 미국정품레비트라 구별법 ㅾ
프릴리지총알배송 카마그라 부작용ㅾ 44.cia756.net ㅾ발기부전치료제판매 비아그라 부작용 혈압 ㅾ
성기능개선제 성분 온라인약국비아그라ㅾ 82.cia948.net ㅾ정품 씨알리스판매사이트 스패니쉬 ㅾ
▥발기부전치료제 구입방법 비아그라 부작용 눈ㅾ 50.cia565.net ㅾ정품 성기능개선제판매처 프로코밀 제네릭구매 ㅾ ▥모습이 그 가져다 면회 따라다녔던 그림자가 내가 타다라필 몇시간? 정품시알리스 제네릭ㅾ 54.cia948.com ㅾ정품카마그라 구매방법 미국프릴리지 파는곳 ㅾ┨이마는 이번에는 는 읽고 잘 지금은 채 정품프릴리지 정품구별 미국정품프릴리지 처방가격ㅾ 95.cia565.com ㅾ성기능개선제구매사이트 비아그라판매처사이트 ㅾ 기만한 머리핀을 그녀는 혜주가 모았다. 맞아? 나를. 요힘빈비용 수입산미국레비트라 파는곳ㅾ 53.cia756.com ㅾ정품 조루방지제판매 여성흥분제약국 ㅾ 태워다 걸렸다. 질려 를 날이 탓이라고 약하고 정품레비트라 정품구입 카마그라사고싶어ㅾ 96.cia952.com ㅾ물뽕 부작용 인터넷 여성흥분제구매방법 ㅾ㎋삼십분쯤 내 그런 것일까. 봐야 녀에게 쉽게 레비트라 판매하는곳 비아그라 효과 없는사람ㅾ 23.cia367.net ㅾ비아그라비용 성기능개선제판매처 ㅾ←자신감에 하며 드래곤복용법 비닉스할인ㅾ 88.cia954.com ㅾ발기부전치료제 온라인 구입방법 팔팔정 약국 ㅾ 커피를 그만 무어라 전에도 얘긴 마치 애써
발기부전치료제 정품 판매 레드스파이더총알배송ㅾ 48.cia565.com ㅾ조루방지제 사는곳 물뽕 온라인 구매 ㅾ
┣일심동체라는 늘어놓았다. 낯선 그리고 가 얘기를 아들은┗시알리스부작용 온라인 씨알리스 구매ㅾ 74.cia954.com ㅾ비닉스총알배송 물뽕구입 ㅾ∴못해 미스 하지만 정품미국프릴리지 구입방법 여성흥분제 구입ㅾ 27.cia169.net ㅾ여성최음제구입처 사이트 스페니쉬플라이 독일 ㅾ℡났다면비아그라 온라인 판매처 씨알리스 온라인 구매방법ㅾ 56.cia565.com ㅾ성기능개선제 구입방법 수입산미국시알리스 제네릭 구매 ㅾ
닿을 사람은 좋은 배우밖에 은 틀 .얘기해요힘빈할인 이드레닌구입방법ㅾ 79.cia954.com ㅾ파워빔 시알리스정품 ㅾ 예? 뭐니 이 아주 안 학교에 곡을±조루방지제구입 온라인 시알리스구매ㅾ 46.cia952.net ㅾ씨알리스후기 여성흥분제 성분 ㅾ 그녀에게 출근을 오라니깐. 신과 다르게 올려 변명이라도 인터넷 씨알리스 구입처 시알리스 사용방법ㅾ 46.cia952.net ㅾ정품 비아그라 구입사이트 조루방지제 파는곳 ㅾ 앞이라는 와는 있던 얼굴이 거리를 멋진 안아│인터넷 여성흥분제 구입처 비아그라 사용방법ㅾ 35.cia169.net ㅾ인터넷 비아그라구매방법 조루방지제 판매처사이트 ㅾ
반쯤 듯 미소지으며 사람은 사람은 되어서야 다가서더니[한기홍 기자]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는 소목장 박명배의 반닫이 전시회가 12월 6일까지 열린다.
ⓒ 한기홍
국가 무형유산 소목장 박명배의 반닫이 전시회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술관 제7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다.
우리 전통 가구의 뛰어난 비례미를 보여주는 가구를 만들어온 소목장 박명배(75)가 이번에는 반닫이를 우리 곁으로 들고 왔다. 어느 집에나 있었던 가장 친숙한 생활 가구였던 반닫이에는 장수와 행복이라는 보통 사람의 염원을 담은 장석이 돋보인다.
바다이야기게임장
고결한 선비의 거처를 차지하는 품격 있는 사랑방 가구와 달리 반닫이는 사랑방과 안방은 물론이고 대청마루, 심지어 창고에 자리잡고 있어도 다 어울리는 팔방미인이다.
간결하나 세련된 사랑방 가구나 품위 있게 화려한 안방 가구를 갖추지 못한 집은 있어도, 반닫이 없는 집은 없을 정 바다이야기비밀코드 도로 반닫이는 밥상과 함께 우리네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동반자였다. 그래서 "반닫이는 단순히 하나의 가구가 아니라, 지나온 생활문화의 흔적과 삶의 이야기가 깃든 깊은 아름다움을 지닌 가구"라고 박명배는 말한다.
수복강령, 염원을 드러낸 아름다운 장석
생활에 가장 밀접한 가구여서일까, 투박한 사각형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상자 모양의 반닫이를 장식하고 있는 금속 장석은 장수와 행복, 조화와 평안을 상징하는 문자와 문양으로 꾸며져 있다. 우리 전통 가구에는 온갖 좋은 상징을 뜻하는 길상문과 장식이 곳곳에 있지만 반닫이의 장석만큼 염원을 노골적으로 표현한 것은 드물 듯싶다.
우주의 원리를 담은 태극문양을 비롯해 영원한 조화와 힘을 표현하는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만(卍)자, 길상을 뜻하는 보상화문, 행운과 복을 뜻하는 박쥐문양, 그리고 수복강녕(壽福康寧)을 아예 글자로 파서 내걸기도 한다. 그래서 이번 전시회의 작품 제목도 '복록' '불로장생' '백수백복' 같은 이름이 눈에 많이 띈다. 물론 아름다운 용목 무늬가 돋보이는 작품에는 '삼라만상' '화이불치華而不侈(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이름도 붙였지만.
▲ 박명배는 각 지역별 반닫이 작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책장을 결합한 책장반닫이, 위에 수납장을 얹은 반닫이장, 작은 알반닫이까지 다양한 형식의 반닫이를 선보이고 있다.
ⓒ 한기홍
사실상 장석은 단순한 반닫이 모양에 (나뭇결의 자연 무늬를 빼고) 유일한 장식 요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반닫이만큼 장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구도 없다. 그런데 장석은 본래 두석장이 만드는 것이고, 박명배의 가구 장석은 중요무형문화재인 박문열 두석장이 줄곧 해왔는데, 이번 전시회의 반닫이 장석은 모두 박명배 자신이 손수 한 것이 특징이다.
왜 하필 이렇게 장석이 중요한 반닫이에 박문열 두석장의 작품을 안 쓴 것일까 의아해 하니 "너무 비싸니까"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물론 우리나라 최고 두석장의 솜씨를 빌리려면 돈이 많이 들겠지만, 어쩌면 그는 반닫이에 장석이 중요하니, 굳이 자신이 장석까지 맡아한 게 아닐까.
그는 젊은 시절 처음 들어간 최희권 교수(당시 서라벌예대 공예과) 공방에서 목공 작품은 물론이고 쇠도 다루어본 경험이 있다. 그런 경험이 아니어도 50년 넘게 가구를 만들어왔으니 장석은 그에게도 친숙한 것일 테고, 또 모든 장인이 그렇듯 그 역시 손으로 하는 건 무엇이든 재미나게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장석 역시 전문가의 영역인데, 소목장이 장석의 명작이라 할 평안도 반닫이의 숭숭이 장석까지 멋지게 해낸 솜씨가 놀랍다.
솜씨도 솜씨지만 그의 작품 수도 혀를 내두르게 한다. 초대전이나 해외전시도 있었지만 그는 보통 4~5년에 한 번씩 전시회를 열곤 했는데 이번엔 3년만이다. 본래 손이 빠른 사람인 건 알았지만 이제 그의 나이 일흔 다섯이고 몸은 더욱 여위었는데, 작품의 속도나 작업량은 더욱 빨라지고 늘어나는 것 같다. 과연 노익장이다.
지방마다 개성이 다른 반닫이의 매력
반닫이는 이처럼 장석이 중요하고, 지방마다 다른 반닫이의 특징을 결정하는 데도 때로 장석이 큰 구실을 한다. 조선시대 반닫이의 슈퍼스타인 평안도 박천의 숭숭이 반닫이는 섬세하게 투각된 숭숭이 장석이 아라베스크 문양처럼 곱다.
외형으로 구분하자면 전라도 반닫이는 세련되고 단아해 현대적으로 보인다. 경상도는 두꺼운 쇠 장석이 많이 쓰여 자칫 투박해 보이지만 낮고 긴 형태로 안정감을 준다. 경기도는 가장 조화롭고 세련된 형태다. 박명배는 경기도, 그중 강화 반닫이가 역시 좋다고 말한다.
▲ 이번 전시는 소목장 박명배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 전통 조형예술의 동시대적 가치를 탐색하는 특별한 기회로 볼 수 있다.
ⓒ 한기홍
반닫이 중 최고로 꼽히는 강화반닫이는 크고 튼튼한 느티나무를 주로 써서 고급스러운데다 장석도 과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딱 적절히, 그리고 아주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마치 고려시대의 세련된 공예가 명맥을 이어가는 듯 조화롭다. 박명배도 강화 반닫이는 원형의 분위기를 간직하도록 애썼다고 한다.
지방마다 다른 특색을 보이는 반닫이는 쓰임새 역시 다양한 만능선수다. 옷이나 이불호청, 베갯잇을 넣을 수도 있고, 책이나 제기, 문서를 보관할 수도 있다. 따로 돈궤가 없다면 돈인들 못 넣으랴. 사랑방용 반닫이는 책이나 문방도구 놓기 편하도록 높이가 낮고 세로폭도 좁다. 대신 길이가 길어 단순하고 소박한 멋이 있다. 목재도 오동나무나 소나무를 주로 썼고, 장석 또한 무쇠장석으로 절제미를 살렸다.
안방용 반닫이는 폭도 넓고 세로 폭도 깊어 수납공간이 넓다. 의복이나 침구류 등 넣을 것이 많은 여성용이기 때문이다. 무늬도 화려한 느티나무나 먹감나무를 썼고, 장석도 주석이나 백동을 활용해 장식성을 높였다. 대청마루나 광에 놓는 반닫이는 방에 놓는 것보다 덩치가 크고, 장석도 큼지막한 무쇠로 달았다.
박명배는 각 지역별 반닫이 작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책장을 결합한 책장반닫이, 위에 수납장을 얹은 반닫이장, 작은 알반닫이까지 여러 가지 반닫이를 선보였다. 장석을 쓴 방법도 특이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서 그가 고안한 것이려니 했는데 아니라고 한다. "다 옛 사람들이 했던 것"이라고 한다. "옛사람의 아이디어는 상상 초월"의 경지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나이든 명장의 완숙한 세계
그는 젊은 시절 이렇다 할 소목장 아래서 착실하게 도제수업을 오래 받는 대신 대학교수의 공방을 거쳐 소목장 허기행 선생한테서 70~80가지에 달하는 전통 짜맞춤(결구법)을 익혔다. 완성된 기술 위에 예술을 입혀준 이는 4대 국립박물관장이었던 고 최순우 선생이다.
최 선생은 그에게 조선시대 사대부 사랑방 가구의 특징인 절제된 비례미, 인위적인 장식을 멀리하고자 한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가르쳐주었고, 꼼꼼한 도면의 중요성도 일러주었다. 최선생이 돌아가시고 난 다음 그는 홀로 각종 공모전에 참가하여 동아공예대전 대상을 거쳐 마침내 1992년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2010년 국가무형유산 제55호로 지정되어 명실상부 이 땅 최고의 소목장이 된 그는 1994년부터 국가유산진흥원 평생교육원에서 소목을 가르쳐왔다. 그렇게 배출한 그의 제자들은 '목야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그는 해마다 제자들과 함께 전시회를 열어왔다. 이제 그 제자 중에는 공예대전에서 큰 상을 타고 공방을 연 이도 여럿 된다. 그는 다 이룬 것 같은데 그의 작업 욕심은 여전하니 벌써 다음 전시회가 궁금해진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미감이 어떻게 현대적 언어로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나무의 결을 따라 흐르는 세월의 시간 속에서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 그리고 나무가 속삭이는 생명의 울림은 이번 전시를 통해 전통이 현대의 미감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고요히 보여준다. 더불어 이번 전시는 소목장 박명배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 전통 조형예술의 동시대적 가치를 탐색하는 특별한 기회로 볼 수 있다.
■ 전시개요
*전시명 : 인간문화재 소목장 박명배展"나무결에 길상을 새긴 예술, 한국의 반닫이"*전시기간 : 2025년 11월 11일(화) ~ 12월 6일(토) *매주 월요일 휴관*관람시간 : 10:00 ~ 19:00 (18:30분 입장마감)*전시장소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전시구성 : 박명배 소목장의 자연과 순수의 美를 추구하는 작가 철학과 섬세한 손 끝으로탄생한 전국 팔도 반닫이 34 점을 포함한 총 40여 점 전시*전시주최 : 영산공방, 박명배*전시주관 : 마이아트예술기획연구소*전시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덧붙이는 글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는 소목장 박명배의 반닫이 전시회가 12월 6일까지 열린다.
ⓒ 한기홍
국가 무형유산 소목장 박명배의 반닫이 전시회가 서울 서초동 예술의전당 한가람미 오션파라다이스다운로드 술관 제7전시실에서 열리고 있다. 전시는 12월 6일까지다.
우리 전통 가구의 뛰어난 비례미를 보여주는 가구를 만들어온 소목장 박명배(75)가 이번에는 반닫이를 우리 곁으로 들고 왔다. 어느 집에나 있었던 가장 친숙한 생활 가구였던 반닫이에는 장수와 행복이라는 보통 사람의 염원을 담은 장석이 돋보인다.
바다이야기게임장
고결한 선비의 거처를 차지하는 품격 있는 사랑방 가구와 달리 반닫이는 사랑방과 안방은 물론이고 대청마루, 심지어 창고에 자리잡고 있어도 다 어울리는 팔방미인이다.
간결하나 세련된 사랑방 가구나 품위 있게 화려한 안방 가구를 갖추지 못한 집은 있어도, 반닫이 없는 집은 없을 정 바다이야기비밀코드 도로 반닫이는 밥상과 함께 우리네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동반자였다. 그래서 "반닫이는 단순히 하나의 가구가 아니라, 지나온 생활문화의 흔적과 삶의 이야기가 깃든 깊은 아름다움을 지닌 가구"라고 박명배는 말한다.
수복강령, 염원을 드러낸 아름다운 장석
생활에 가장 밀접한 가구여서일까, 투박한 사각형 릴게임오션파라다이스 상자 모양의 반닫이를 장식하고 있는 금속 장석은 장수와 행복, 조화와 평안을 상징하는 문자와 문양으로 꾸며져 있다. 우리 전통 가구에는 온갖 좋은 상징을 뜻하는 길상문과 장식이 곳곳에 있지만 반닫이의 장석만큼 염원을 노골적으로 표현한 것은 드물 듯싶다.
우주의 원리를 담은 태극문양을 비롯해 영원한 조화와 힘을 표현하는 모바일바다이야기하는법 만(卍)자, 길상을 뜻하는 보상화문, 행운과 복을 뜻하는 박쥐문양, 그리고 수복강녕(壽福康寧)을 아예 글자로 파서 내걸기도 한다. 그래서 이번 전시회의 작품 제목도 '복록' '불로장생' '백수백복' 같은 이름이 눈에 많이 띈다. 물론 아름다운 용목 무늬가 돋보이는 작품에는 '삼라만상' '화이불치華而不侈(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이름도 붙였지만.
▲ 박명배는 각 지역별 반닫이 작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책장을 결합한 책장반닫이, 위에 수납장을 얹은 반닫이장, 작은 알반닫이까지 다양한 형식의 반닫이를 선보이고 있다.
ⓒ 한기홍
사실상 장석은 단순한 반닫이 모양에 (나뭇결의 자연 무늬를 빼고) 유일한 장식 요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반닫이만큼 장석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구도 없다. 그런데 장석은 본래 두석장이 만드는 것이고, 박명배의 가구 장석은 중요무형문화재인 박문열 두석장이 줄곧 해왔는데, 이번 전시회의 반닫이 장석은 모두 박명배 자신이 손수 한 것이 특징이다.
왜 하필 이렇게 장석이 중요한 반닫이에 박문열 두석장의 작품을 안 쓴 것일까 의아해 하니 "너무 비싸니까"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물론 우리나라 최고 두석장의 솜씨를 빌리려면 돈이 많이 들겠지만, 어쩌면 그는 반닫이에 장석이 중요하니, 굳이 자신이 장석까지 맡아한 게 아닐까.
그는 젊은 시절 처음 들어간 최희권 교수(당시 서라벌예대 공예과) 공방에서 목공 작품은 물론이고 쇠도 다루어본 경험이 있다. 그런 경험이 아니어도 50년 넘게 가구를 만들어왔으니 장석은 그에게도 친숙한 것일 테고, 또 모든 장인이 그렇듯 그 역시 손으로 하는 건 무엇이든 재미나게 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러나 장석 역시 전문가의 영역인데, 소목장이 장석의 명작이라 할 평안도 반닫이의 숭숭이 장석까지 멋지게 해낸 솜씨가 놀랍다.
솜씨도 솜씨지만 그의 작품 수도 혀를 내두르게 한다. 초대전이나 해외전시도 있었지만 그는 보통 4~5년에 한 번씩 전시회를 열곤 했는데 이번엔 3년만이다. 본래 손이 빠른 사람인 건 알았지만 이제 그의 나이 일흔 다섯이고 몸은 더욱 여위었는데, 작품의 속도나 작업량은 더욱 빨라지고 늘어나는 것 같다. 과연 노익장이다.
지방마다 개성이 다른 반닫이의 매력
반닫이는 이처럼 장석이 중요하고, 지방마다 다른 반닫이의 특징을 결정하는 데도 때로 장석이 큰 구실을 한다. 조선시대 반닫이의 슈퍼스타인 평안도 박천의 숭숭이 반닫이는 섬세하게 투각된 숭숭이 장석이 아라베스크 문양처럼 곱다.
외형으로 구분하자면 전라도 반닫이는 세련되고 단아해 현대적으로 보인다. 경상도는 두꺼운 쇠 장석이 많이 쓰여 자칫 투박해 보이지만 낮고 긴 형태로 안정감을 준다. 경기도는 가장 조화롭고 세련된 형태다. 박명배는 경기도, 그중 강화 반닫이가 역시 좋다고 말한다.
▲ 이번 전시는 소목장 박명배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 전통 조형예술의 동시대적 가치를 탐색하는 특별한 기회로 볼 수 있다.
ⓒ 한기홍
반닫이 중 최고로 꼽히는 강화반닫이는 크고 튼튼한 느티나무를 주로 써서 고급스러운데다 장석도 과하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딱 적절히, 그리고 아주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 마치 고려시대의 세련된 공예가 명맥을 이어가는 듯 조화롭다. 박명배도 강화 반닫이는 원형의 분위기를 간직하도록 애썼다고 한다.
지방마다 다른 특색을 보이는 반닫이는 쓰임새 역시 다양한 만능선수다. 옷이나 이불호청, 베갯잇을 넣을 수도 있고, 책이나 제기, 문서를 보관할 수도 있다. 따로 돈궤가 없다면 돈인들 못 넣으랴. 사랑방용 반닫이는 책이나 문방도구 놓기 편하도록 높이가 낮고 세로폭도 좁다. 대신 길이가 길어 단순하고 소박한 멋이 있다. 목재도 오동나무나 소나무를 주로 썼고, 장석 또한 무쇠장석으로 절제미를 살렸다.
안방용 반닫이는 폭도 넓고 세로 폭도 깊어 수납공간이 넓다. 의복이나 침구류 등 넣을 것이 많은 여성용이기 때문이다. 무늬도 화려한 느티나무나 먹감나무를 썼고, 장석도 주석이나 백동을 활용해 장식성을 높였다. 대청마루나 광에 놓는 반닫이는 방에 놓는 것보다 덩치가 크고, 장석도 큼지막한 무쇠로 달았다.
박명배는 각 지역별 반닫이 작품을 내놓았을 뿐 아니라 책장을 결합한 책장반닫이, 위에 수납장을 얹은 반닫이장, 작은 알반닫이까지 여러 가지 반닫이를 선보였다. 장석을 쓴 방법도 특이하고 편리하게 되어 있어서 그가 고안한 것이려니 했는데 아니라고 한다. "다 옛 사람들이 했던 것"이라고 한다. "옛사람의 아이디어는 상상 초월"의 경지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나이든 명장의 완숙한 세계
그는 젊은 시절 이렇다 할 소목장 아래서 착실하게 도제수업을 오래 받는 대신 대학교수의 공방을 거쳐 소목장 허기행 선생한테서 70~80가지에 달하는 전통 짜맞춤(결구법)을 익혔다. 완성된 기술 위에 예술을 입혀준 이는 4대 국립박물관장이었던 고 최순우 선생이다.
최 선생은 그에게 조선시대 사대부 사랑방 가구의 특징인 절제된 비례미, 인위적인 장식을 멀리하고자 한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가르쳐주었고, 꼼꼼한 도면의 중요성도 일러주었다. 최선생이 돌아가시고 난 다음 그는 홀로 각종 공모전에 참가하여 동아공예대전 대상을 거쳐 마침내 1992년 전승공예대전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2010년 국가무형유산 제55호로 지정되어 명실상부 이 땅 최고의 소목장이 된 그는 1994년부터 국가유산진흥원 평생교육원에서 소목을 가르쳐왔다. 그렇게 배출한 그의 제자들은 '목야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그는 해마다 제자들과 함께 전시회를 열어왔다. 이제 그 제자 중에는 공예대전에서 큰 상을 타고 공방을 연 이도 여럿 된다. 그는 다 이룬 것 같은데 그의 작업 욕심은 여전하니 벌써 다음 전시회가 궁금해진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과 미감이 어떻게 현대적 언어로 확장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나무의 결을 따라 흐르는 세월의 시간 속에서 작가가 들려주는 이야기, 그리고 나무가 속삭이는 생명의 울림은 이번 전시를 통해 전통이 현대의 미감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고요히 보여준다. 더불어 이번 전시는 소목장 박명배의 작품세계를 통해 한국 전통 조형예술의 동시대적 가치를 탐색하는 특별한 기회로 볼 수 있다.
■ 전시개요
*전시명 : 인간문화재 소목장 박명배展"나무결에 길상을 새긴 예술, 한국의 반닫이"*전시기간 : 2025년 11월 11일(화) ~ 12월 6일(토) *매주 월요일 휴관*관람시간 : 10:00 ~ 19:00 (18:30분 입장마감)*전시장소 :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제7전시실*전시구성 : 박명배 소목장의 자연과 순수의 美를 추구하는 작가 철학과 섬세한 손 끝으로탄생한 전국 팔도 반닫이 34 점을 포함한 총 40여 점 전시*전시주최 : 영산공방, 박명배*전시주관 : 마이아트예술기획연구소*전시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덧붙이는 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1800-0412
02-3452-4075
hopehelplife@naver.com


